QUICK LINK

교육과정

RC구조특론(RC structure)

본 과목은 컴퓨터를 활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석이론과 실제 설계에의 적용방법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각 구조물에 대한 구조물의 해석을 주로 다루게 되며 해석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를 부수적으로 다루게 된다. 그러기 위해 기본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응력과 변형, 파괴 메카니즘, 이력성상 등의 거동을 다룬다.

건축연구방법론(Architectural Engineering Research Methodology)

건축환경설비에 필요한 기본이론 및 논문작성을 위한 논문을 구조적으로 읽고 쓰는 방법에 대한 능력을 함양한다.

건설사업관리연구Ⅰ(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ResearchⅠ)

건설사업의 환경이라고 할 수 있은 건설시장과 건설산업에 대해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아울러, 건설사업관리의 핵심 요소 중 제도적으로 엄격히 통제되고 잇는 품질관리 및 안전관리와 관련한 세부 사항을 이론과 실무에 입각하여 연구한다.

건물전과정분석기법(Building Life Cycle Analysis)

본 과목은 건물의 생애 주기 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에 관한 것입니다. LCA 도구는 지속 가능한 전략의 성과, 경제성 또는 건물 운영에 대한 정량적인 예측을 제공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초기 계획에 도움을 준다.

그린빌딩과건축설비(Green Building and Building Services)

건축환경의 요소기술에 대하여 학습하여 지속가능한 건축, 저탄소 녹색성장 등 그린빌딩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린빌딩에 요구되는 환경적 요소(빛, 공기, 물, 열, 생태 등)에 대해서 정리하며, 그린빌딩의 사회적 필요성 등을 이해한다. 또한, 건축물의 환기설비, 공기조화설비, 급배수설비, 냉난방설비, 소방설비, 초고층설비 등의 기초적 지식과 건축의 적용방 법에 대하여 습득한다. 최근 중요성이 인식되는 친환경적인 설비방식을 이해한다.

건설자동화(Automation in Construction)

인공지능, 빅데이터, 드론 등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건설 현장의 자동화 사례와 방법을 학습한다. 건설 현장 및 건설관리에서 스마트 기술이 활용되는 사례를 살펴보고, 자동화를 위한 주요 스마트 기술의 개념과 적용 방법을 이해하며, 이러한 기술을 활용한 문제해결 방안을 연구한다.

구조동역학(Structure Dynamics)

구조물의 합리적인 내진설계는 지진에 의한 구조물의 동적거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강의에서는 처음으로 구조동역학을 접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구조물의 동역학의 기초 및 구조물의 지진응답해석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서 강의한다.

건설사업관리연구Ⅱ(Constrution Project Management Research II)

건설사업관리는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필요한 모든 과정과 절차를 계획, 조직, 조정 및 관리하는 분야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건설사업 관리의 이론과 실무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각종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연구한다.

건축설비전산(Computational Building Services)

이 교과목은 건물의 에너지 소비 및 효율을 분석하고, 다양한 에너지 절감 방안을 제시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입니다. 학생들은 건물의 에너지 동적 해석 기법을 이해하고, 실제 해석 도구를 사용하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최적화 방안을 도출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건설정보관리(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건축공학 분야에서 IT 기술과 프로그래밍을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건축설계, 시공, 유지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을 탐구하며,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법을 활용한 효율적인 정보 관리와 의사결정 방법을 익힌다.

건축통합환경설비(Building Services Intergrated with Environment)

건축설비에서는 건축물 및 인간의 생활환경에 있어서 건강하고 쾌적하며 또한 친환경적인 공간창출을 위해 각종 건축 설비 시스템을 공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학습한다. 본 강의에서는 건축물 설비 시스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주변환경에 맞게 설비 시스템을 설계하며, 이에 대한 성능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며, 공기조화설비, 난방설비, 환기설비, 급배수설비를 중심으로 유체역학과 열전달 등의 공학적 이론을 습득하고, 이것을 이용한 건축환경조절방법을 모색한다.

건축설비특론(Advanced Mechanical Equipment for Buildings)

본 과목은 건축직이 알아야 하는 전기설비 분야(전기, 통신, 소방, 자동제어, 운송)에 대해 기초적인 이론과 현장에서 경험하게 될 사항에 대해 이론과 실무를 습득하는데 목표가 있다, -. 더불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건설산업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고, 미래를 위해 어떻게 준비하여야 하는가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의 요소기술들이 무엇이고, 이러한 요소기술들이 건설 산업과 어떻게 접목이 되는가에 대해 실제 사례를 들어서 소개하고 학습하는 것이 목표이다. -. 이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전기설비에 대해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건설산업이 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목표가 설정될 것이다.

구조동역학특론(Advanced Structure Dynamics)

불규칙한 외력을 받는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미소한 시간간격으로 운동방정식을 수치적으로 적분하여 해를 구하기 위한 수치적분법 및 구조물 또는 부재의 이력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이력모델이 필요하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상과 같은 수치적분 및 이력모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건축구조설계특론(Advanced Structural Design of Buildings)

건축물의 구조설계의 과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최신 건축구조기준에 따라 건축물에 작용하는 하중(고정하중, 활하중, 설하중, 풍하중, 지진하중 등)을 파악하고, 콘크리트구조, 강구조, 강-콘크리트합성구조, 조적식구조, 목구조 등의 구조설계과정에 대한 주요 개념을 파악한다.

건축프로젝트관리(Building Project Management)

이 교과목은 건설사업관리 중 특히 건축 프로젝트에 중점을 두고 탐구한다. 해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건축프로젝트 관리의 표준 프로세스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관리 기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건물시스템(Integrated Building System)

건물설비에서 기본이 되는 건물통합관리에 관한 기초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건물 내에서의 검물 시스템의 구조원리·배관체계·설계원리를 터득케 하며, 더 나아가 이들 설비시스템의 계획·설계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실기기술을 습득·배양시킨다.

건축환경시뮬레이션연구(Building Environment Simulation)

이 교과목은 MATLAB/Simscape를 활용하여 건물 시스템의 해석 모델을 작성하는 기술을 학습하고, 특히 건물의 냉방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분석하고, 냉방 시스템의 설계와 최적화를 위한 해석 도구를 실습을 통해 익힌다.

건설빅데이터분석(Big data in construction industry)

본 교과목은 빅데이터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건설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과 통계적 연구 방법을 익히며, 실제 건설 프로젝트와 업무에서 빅데이터가 적용되는 사례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능력을 배양하고, 건설산업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한다.

구조해석특론Ⅰ(Advanced Structure AnalysisⅠ)

이 교과목은 건축물의 내진성능평가의 기본 개념과 절차를 이해하고, 다양한 구조형식별 내진성능평가 방법을 실습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예비평가, 1단계 상세평가, 2단계 상세평가와 같은 단계별 내진성능평가 기법을 배움으로써, 건축물의 내진 안전성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한 구조 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건축설비특론II(Advanced Mechanical Equipment for Buildings II)

건물설비에서 기본이 되는 공조, 기계설비에 관한 기초이론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건물 내에서의 설비 시스템의 구조원리·배관체계·설계원리를 터득케 하며, 더 나아가 이들 설비시스템의 계획·설계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실기기술을 습득·배양시킨다.

건축환경연구(Seminar on Architectural Environment)

이 교과목은 MATLAB/Simulink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벽체열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벽체의 열 전달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MATLAB/Simulink를 사용하여 벽체의 온도 분포를 계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건물에너지해석(Building Energy Analysis)

건축 환경 설비 분야에서 다루고 있는 몇 가지 테마에 대해 물리적 이론을 고찰한 후, 수학적 모델을 만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수학적 모델을 컴퓨터를 활용하여 풀 수 있도록 다양한 수치해석 방법을 익히고, MATLAB을 활용하여 그 해를 구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건설생산성관리(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건설산업의 생산성 문제에 대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문제의 원인 분석과 대안 고찰을 통해 단기 및 중장기적인 생산성 향상 방안을 탐색한다. 건설산업에서의 생산성 저하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기술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건설지식관리(Konwledge Management in Construction)

본 교과목은 건축설계 및 시공지식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구조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규칙을 자동 검토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학생들은 온톨로지의 개념을 익히고, 건설 분야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또한, Protege와 같은 온톨로지 편집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모델링 실습을 진행하며, 지식 기반 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을 경험한다.